2025. 5. 11. 01:45ㆍIT&AI
✅ 안전 모드로 부팅 시도 – 문제 해결의 첫걸음
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거나, 블루스크린이나 무한 재부팅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**안전 모드(Safe Mode)**는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수단입니다. 안전 모드는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서비스만 로드하기 때문에, 운영체제의 기본 기능만으로 부팅이 이루어집니다. 따라서 드라이버 충돌, 최근 설치된 프로그램, 악성코드 등으로 인한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기에 적합한 환경입니다.
📌 안전 모드란 무엇인가?
안전 모드는 윈도우의 제한된 상태로, 그래픽, 네트워크, 오디오 등 대부분의 부가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부팅됩니다. 즉,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요소를 최대한 배제한 상태로 윈도우를 실행하는 모드입니다.
✅ 안전 모드 진입 방법 (윈도우가 아예 부팅되지 않을 때)
윈도우가 부팅되지 않더라도 아래 절차를 통해 고급 시작 옵션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.
▶ 방법 1: 자동 복구 기능을 이용한 진입
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강제 종료합니다.
윈도우 로딩 아이콘이 뜨기 직전까지 기다렸다가 전원을 끕니다.
이 과정을 3번 반복하면 자동 복구 모드로 진입합니다.
“자동 복구 준비 중” 메시지가 나오고, 이후 복구 화면이 나타납니다.
고급 옵션 > 문제 해결 > 고급 옵션 > 시작 설정을 순서대로 클릭합니다.
“시작 설정” 화면이 뜨면 오른쪽 하단의 ‘다시 시작’ 버튼을 누릅니다.
재시작 후, 화면에 여러 부팅 옵션이 숫자로 나열됩니다.
예시:
1) 디버깅 사용
2) 부팅 로그 사용
3) 저해상도 비디오 사용
4) 안전 모드 사용
5) 네트워킹 사용 안전 모드
네트워킹 안전모드에서 가능한 작업 예시 바로가기
'IT&A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부팅, 네트워킹 안전 모드에서 가능한 작업 예시 (1) | 2025.05.11 |
---|---|
윈도우 부팅,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할때 문제의 원인 해결 (0) | 2025.05.11 |
윈도우 부팅, 자동 복구 윈도우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게 하자 (0) | 2025.05.11 |
윈도우 부팅, BIOS/UEFI에서 부팅 순서 바꾸는 방법 (0) | 2025.05.10 |
외부 장치 제거 및 재부팅, 윈도우 부팅 안될때 (0) | 2025.05.10 |